
안녕하세요! 😊 설레는 마음으로 여행 가방을 싸다 보면, 어김없이 찾아오는 고민이 있죠. "이 화장품, 기내에 가져가도 되나?", "보조배터리는 캐리어에 넣어도 괜찮을까?" 등 헷갈리는 비행기 수하물 규정 때문에 짐을 쌌다 풀기를 반복하곤 합니다.
공항 검색대에서 소중한 물건을 뺏기거나, 최악의 경우 벌금을 내는 불상사를 막기 위해! 오늘은 비행기에 절대 반입하면 안 되는 물품부터, 기내에 꼭 가지고 타야 하는 물건, 그리고 많은 분들이 헷갈려 하시는 액체류 규정까지! 속 시원하게 총정리해 드리겠습니다. 💪
📋 오늘 이야기 순서
기본 원칙: 기내 반입 vs 위탁수하물 ✈️
먼저 두 가지 개념부터 확실히 알아볼게요.
- 기내 반입 수하물: 비행기 좌석에 직접 가지고 타는 작은 가방이나 백팩 등을 말합니다.
- 위탁수하물: 공항 체크인 카운터에서 부치는 큰 캐리어 등을 말하며, 비행기 화물칸에 실립니다.
항공 안전 규정의 핵심은 '다른 승객에게 위협이 될 수 있는가?'와 '화물칸에서 화재나 폭발의 위험이 있는가?' 이 두 가지입니다. 이 기준을 생각하면 조금 더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헷갈리는 물품 완벽 정리! (이것만 알면 끝) 짐 싸기 가이드
어디에 넣어야 할지 가장 헷갈리는 물품들을 기준으로 명확하게 정리해 드릴게요.
🚫 절대 반입 금지 (기내 X, 위탁 X)
항공기 안전에 심각한 위협이 되는 물건들입니다.
- 폭발물류 (수류탄, 폭죽 등), 인화성 물질 (페인트, 라이터 기름 등), 독성 물질, 방사성 물질 등
🧳 위탁수하물로만 가능 (기내 X, 위탁 O)
무기로 사용될 수 있는 물건들이 해당됩니다.
- 과도, 커터칼, 맥가이버칼 등 칼 종류
- 날 길이 6cm를 초과하는 가위, 손톱깎이 세트 내의 큰 도구들
- 골프채, 야구배트 등 스포츠용품
- 망치, 드릴 등 공구류
🎒 기내 반입만 가능 (기내 O, 위탁 X)
화물칸에서 화재/폭발 위험이 있어 반드시 기내에 가지고 타야 하는 물건들입니다.
- 보조배터리, 충전식 손선풍기 등 리튬 배터리가 포함된 모든 전자기기
- 전자담배, 충전식 라이터
- 라이터 (1인 1개, 몸에 소지)
[가장 중요] 액체류 및 보조배터리 규정 상세 안내 💧🔋
가장 많은 분들이 실수하는 액체류와 보조배터리 규정! 이것만은 꼭 기억하세요.
💧 액체류 기내 반입 규정 (국제선)
화장품, 샴푸, 치약, 물, 음료수 등 모든 액체, 젤, 스프레이류에 적용됩니다.
- 개별 용기당 100ml 이하로 소분해야 합니다. (100ml 용기에 50ml만 담겨 있어도 OK!)
- 이 모든 용기들을 가로세로 약 20cm x 20cm, 용량 1L의 투명 지퍼백에 모두 담아야 합니다.
- 이 지퍼백은 1인당 1개만 허용됩니다.
- 예외: 의사 처방전이 있는 의약품, 아기용 이유식 및 우유 등은 용량 초과해도 가능 (보안 검색대에서 별도 확인)
🔋 보조배터리 기내 반입 규정
보조배터리는 화물칸의 온도 및 압력 변화로 인한 화재 위험 때문에 절대 위탁수하물로 부칠 수 없습니다.
- 100Wh 이하: 1인당 5개까지 자유롭게 반입 가능 (대부분의 보조배터리가 해당)
- 100Wh 초과 ~ 160Wh 이하: 항공사 승인 하에 1인당 2개까지 반입 가능
- 160Wh 초과: 운송 절대 불가

마무리: 똑똑한 짐 싸기로 즐거운 여행 시작!
복잡해 보이지만 몇 가지 핵심 원칙만 기억하면 비행기 짐 싸기, 어렵지 않습니다. 오늘 알려드린 내용을 잘 참고하셔서 공항에서 당황하는 일 없이, 처음부터 끝까지 즐거운 여행이 되시기를 바랍니다.
가장 정확한 정보는 이용하시는 항공사와 공항 홈페이지에 있으니, 헷갈리는 물품이 있다면 출발 전 꼭 다시 한번 확인하는 습관을 들이세요! 🤗
자주 묻는 질문 (FAQ) ❓
비행기 짐 싸기 핵심 요약!
'정보공유 > 일상생활의 꿀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 디즈니런 서울, 티켓팅 성공 비법부터 꿀팁까지! (일정, 장소) (1) | 2025.07.01 |
---|---|
서울 근교 계곡 맛집 BEST 5, 발 담그고 백숙 먹는 신선놀음! (3) | 2025.07.01 |
스테이블코인이란? USDT, USDC 등 종류별 차이점과 투자 전 유의사항 (4) | 2025.06.30 |
2025년 국내 여름휴가, 어디까지 가봤니? (현지인처럼 즐기는 여행지 BEST 10) (6) | 2025.06.30 |
2025년 초복, 중복, 말복 날짜는 언제? (삼복 유래와 보양식 추천) (2) | 2025.06.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