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안녕하세요
과세대상(주택임대소득)에 대해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
자주하는 질문 Q&A 입니다.
1. 일시적 2 주택 임대소득
Q. 이사 등으로 일시적으로 2 주택을 소유한 경우에도 월세에 대하여 과세가 되나요?
A. 네. 과세가 됩니다.
과세기간 중 일시적으로 주택을 2채 보유하면서 월세를 받는 경우, 해당 임대소득은 과세대상입니다.
2. 임대소득 부부합산
Q. 주택임대소득 계산 시 부부를 합산하여 주택수를 계산하는데 종합소득세 신고 시에도 합산하여 신고하는지?
A. 아닙니다.
주택 수 판단 시에는 부부 합산 기준이 적용되지만, 종합소득세는 각각 개인별로 신고해야 합니다.
3. 소수지분 보유
Q. 단독명의 3채 + 공동명의 1채(본인 40%) 보유 시, 소득세 신고는 어떻게?
A. 주택 수 계산 시에는 지분이 가장 큰 사람 기준으로 판단하지만, 실제 소득 신고는 본인의 지분에 따라 신고해야 합니다.
즉, 본인 지분(40%)에 해당하는 공동주택 임대소득도 합산하여 신고해야 합니다.
4. 관리비 및 공공요금
Q. 관리비나 공공요금을 받은 경우 수입금액에 포함되나요?
A. 다음 기준에 따라 다릅니다.
항목 | 수입금액 포함 여부 |
---|---|
전기료, 수도료 등 공공요금 | 포함하지 않음 |
공공요금 초과 징수금액 | 초과금액만 포함 |
청소비, 난방비 등 | 포함 |
5. 국외소유 주택
Q. 국외 주택 임대소득도 신고해야 하나요?
A. 거주자는 국외 임대소득을 국내소득과 합산 신고해야 합니다.
비거주자의 경우, 국외 주택 소득은 우리나라 과세대상이 아니며, 주택 수에도 포함되지 않습니다.
6. 분리과세 최저한세 적용
Q. 소형주택 감면은 분리과세와 종합과세 모두 최저한세 적용되나요?
A. 종합과세는 적용되며, 분리과세는 적용되지 않습니다.
7. 종합과세 vs 분리과세
Q. 총수입금액 2천만 원 이하 시, 어떤 과세방식을 선택해야 유리한가요?
A. 유리한 방식은 개인마다 다르므로 홈택스 모의계산 서비스를 이용해 비교해 보는 것이 좋습니다.
※ 홈택스 > 모의계산 > 주택임대소득 종합・분리과세 예상세액 비교하기
8. 선세금 수입금액 계산
Q. 선세금을 받은 경우, 수입금액은 어떻게 계산하나요?
A. 선세금은 계약기간 전체 월수로 나눈 후, 과세연도에 해당하는 월수만큼 계산하여 수입금액에 산입 합니다.
계산식:
총수입금액 = 선세금 × (과세연도 임대기간 월수 ÷ 계약기간 전체 월수)
계약개시월 | 계약종료월 | 적용 월수 |
---|---|---|
1월 미만 | - | 1월 |
- | 1월 미만 | 0월 |
반응형
'세무지식 > 종합소득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종합소득세 - 주택임대소득 과세대상 1 홈텍스 Q&A (0) | 2025.04.30 |
---|---|
종합소득세 - 종교인소득 홈텍스 Q&A 총정리 (0) | 2025.04.29 |
종합소득세 - 금융소득 관련 3 (0) | 2025.04.28 |
종합소득세 - 금융소득 과세 대상 2 (배당소득,이자소득) 홈텍스 Q&A (1) | 2025.04.28 |
종합소득세-공동사업자 (홈텍스Q&A) 가산세 배분 및 성실신고확인 (1) | 2025.04.27 |